제품
비만, 당뇨 최신 트랜드 및 관련 연구를 위한 단백질, 항체, Kit, chemical 등을 만나봅니다.
* 제품 상세보기
* 제품문의 02-2140-3308 | ksy0810@younginfrontier.com
비만/당뇨 연구 Adipogen 제품으로 정복하자!
1. 비만과
당뇨는 바늘과 실의 관계이다
흔히 비만이 되면 고혈압, 심장질환 등을 먼저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만과 당뇨는 바늘과 실의 관계와 같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살이 찌면 점점 뚱뚱해지기 쉬워지고 뚱뚱해지면 당뇨병에 걸리기 쉬워진다.
당뇨병에 걸린 비만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비만 관리 뿐만 아니라 당뇨병의 치료 또한 더욱 어렵다.
2017년 국민건강통계를 확인 해보면 체질량지수 (kg/m2)가 25이상인 비만 환자의 비율이
2017년 남자는 41.6%, 여자는 25.6%로 조사되었다.
2017년 조사 결과이므로 2019년에는 비만인의 비율이 더욱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당뇨 환자의 비율 또한 더욱 증가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비만과 당뇨에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이 관여한다.
그렇다면 왜 비만인 사람이 당뇨에 걸리기 쉽고 치료가 더 어려운 것일까?
이는 비만과 관련된 여러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과 관련이 있다.
당뇨병은 알려진 바와 같이 높은 혈당 수치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는 질병으로 이는 흔히 인슐린 조절 문제에 의해 발생된다.
비만 및 당뇨와 관련된 수 많은 물질의 기능은 음식의 섭취와 체중의 항상성, 인슐린 민감성,
세포의 증식과 혈관 형성, 면역, 염증과 혈관 항상성 조절 등 매우 다양한 역할을 포함한다.
특히 Adipokine이라는 물질은 뇌, 심장, 혈관계, 간과 근육과 소통하는 백색 지방 조직에서 만들어지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이다.
비만이 되면, adipokine의 조절은 어려워지고 비만과 관련된 여러 병리학적 현상과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만성적인 저단위 만성 염증 상태를 유발한다.
이에 adipokine은 대사 질환의 바이오 마커로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3. 비만, 당뇨,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의 조절에 대한 새로운 마커: Adipokine 물질들
Adipokine의 주요 기능은 인슐린 저항성 및 염증 조절과 관련이 있다.
Adipokine (혹은 adipocytokines)은 cytokine의 일종으로 adipose tissue에서 분비되며,
1994년 leptin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그 이후로 약 100여개의 adipokine이 발견되었다.
adipogen에서는 adipokine 바이오마커인 adiponectin, Irisin, Nampt, Visfatin,
Progranulin, RBP4, Vaspin, ZAG에 대한 ELISA Kit를 제공하고 있다.
4. IL-33과
지방 조직의 항상성
IL-33은 지방 조직 기질에 의해 풍부하게 발현되는 cyotkine으로 지방 조직의 항상성에 특히 중요한 단백질이다.
IL-33은 비 염증상태에서는 Treg, 호산구 및 ILC2의 유지하여 지방 조직의 항 염증 상태를 유지시킨다.
Adipogen에서는 높은 활성도를 같은 human IL-33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의 종류도 untagging 형태와 His가 tagging 된 2가지 형태를 보유하고 있어 실험 condition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는 IL-33이 지방 조직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어떤 단백질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Adipogen에서는 그 외 다양한 비만 및 당뇨와 관련된 최신 트랜드의
단백질, 항체, Kit, chemical 등을 취급하고 있다.
아래 관련 링크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지 맨 위로 가기